728x90

나는 인간의 행복추구의 정당성과 인간 인격의 존엄성에 대한 완성이 역사의 궁극목적으로 보고 싶다. 누구나 이 세상에 태어날 때 자기완성을 위해 움직이게 된다. 행복은 모든 인간이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것은 인류의 보편적 가치에 해당한다. 인간의 자연적 권리와 인간의 인격은 역사가 궁극적으로 완성하려고 추구하는 덕목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역사나 세계사는 행복의 실현과 인격의 완성에 종속하지 않을 수 없다. 

   아시아는 아직도 세계사에서 세계보편적인 가치를 창조하거나 생활화하고 있지 못하다. 모든 인류에게 좋은 것은 우리 한국인에게도 좋다. 하지만 한국인에게 좋다고 해서 모든 인류에게 좋은 것은 아니다. 이런 비대칭성을 감안하면 인류에게 좋으면서 한국에게 좋은 것을 생활화해야만 한다는 결론이 도출된다. 한편에 있어서 우리는 자민족 폐쇄주의에만 집착하는 일본의 소아병적인 집단 이데올로기도 철폐해야만 하고 아무 현실성 없는 공허한 세계주의도 경계하지 않으면 안 된다. 불피요하고 소모적인 싸움은 불필요한 싸움만 가속화시킬 것이다. 우리가 이런 싸움으로부터 정화할 수 있는 것은 나의 것이면서 보편적인 것을 생활화할 때 뿐이다. 

   세계사로 나가는 길 위에서 대한민국은 이제 동일화의 근거를 세계보편성에 맞추어 진행시켜야만 한다. 일본에 기생하면서 일본이 만든 이데올로기를 통해 우리의 정체성을 규정하려는 모든 시도는 이제 철저하게 해체되지 않으면 안 된다. 자학근성과 패배주의는 우리가 반드시 극복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들이다. 우리는 이 순간에도 내가 누구인가를 묻고 내가 나의 인간됨에 있어서 무엇이 나를 실질적으로 규정할 수 있는 가에 대해 의식적인 검증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것은 보편적 가치를 실현하는 과정에서 일본과 야기된 특수한 문제를 극복할 가능성을 획득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보편적 가치의 생활화를 위해 우리의 모든 노력을 귀울일 때 우리는 폐쇄된 특수성을 넘어서 보편성을 생활화하게 된다. 이것이 한국에 있어서 역사의 무조건적 명령이다. 이 과제의 실질적 완성은 인류의 보편적 가치의 실현을 위해 우리가 노력할 때만 달성된다. 애국가를 강요하지 않아도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애국가를 부를 수 있을 때 그 국가는 진정한 의미에서 행복한 일치의 경험을 하게 된다. 국민의 자발성을 무시하고 억지로 총동원하는 그런 강요된 애국은 이제 이 한국 땅에서 영원히 추방되지 않으면 안 된다. 맹목적 애국과 강요된 애국은 폐지되어야만 한다. 개인의 자발성에 입각하면서도 개인의 충성심을 이끌어낼만큼 국가 자체가 인권적이고 개방적이어야만 한다. 

   인권을 탄압하고 행복에 적대적인 싸늘한 독재국가는 반드시 폐지되지 않으면 안 된다. 우리는 강요된 침묵을 통해 우리의 인간적 가치가 부정되었던 어두운 정치적 독재를 절대 망각해서는 안 된다. 그것은 우리의 수치이고 인류의 정당한 구성원으로 가는 길에 있어서 우리가 반드시 극복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들이다. 국가가 행복과 인권이라는 기초 위에 있는 것이지 그 반대는 아니다. 국가는 힘을 통해 이런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집행하는 기관에 불과하지 특권화된 집단이 절대 되어서는 안 된다. 국가는 힘을 통해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집행하는 수단에 지나지 않는다. 정치만능주의=힘 만능주의는 우리가 반드시 깨부수지 않으면 안 되는 독소조항에 불과하다. 우리는 인권과 행복이 자유롭게 피어나는 나라를 자랑스럽게 여겨야하지 힘 만능주의로 왜곡된 국가를 자랑할 수는 없다. 지난 50년간 우리 대한민국은 인권후진국가에서 살아왔다. 우리가 이런 역사를 바로잡지 못하면 우리는 절대로 세계일등국가가 될 수 없다. 역사청산은 일본의 역사만이 아니라 우리가 자초한 이런 반인륜적이고 반인권적이고 행복적대적인 삶을 척결하는데서부터 출발해야만 한다. 

   국제 사회의 정당한 구성원이 되기 위해 국제 사회에 적합한 의식을 형성하는 것이 지금 이 시점에서 필요하다. 그것은 세계시민의식을 통해 국가와 세계성을 통일된 것으로 현실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요구하게 한다. 오직 그 때 한에서만 대한민국은 대한민국이면서 세계국가일 수 있는 개방성을 현실화할 수가 있다. 미래개방적인 만큼 우리의 과거를 개방적으로 재생산할 수가 있다. 역사는 우리가 그런 의식적인 노력과 창조를 통해 만들어가는 것이다. 우리가 이 시점에서 우리 역사를 창조적으로 쓸수밖에 없는 것은 우리가 제대로 잘 살기 위해서다. 지킬 것이 있고 자랑스러운 것이 있을 때 사람들은 그것을 지키고 자랑한다. 우리가 역사를 창조적으로 만들지 않으면 안 되는 당위와 현실이 바로 여기에 있다. 이제라도 늦지 않았다. 독재의 종식과 자유민주주의의 생활화는 이런 단계의 첫 단계를 의미한다. 그리고 더 나가서 인권과 행복의 실현이 아무 방해받지 않고 자유스럽게 실현될 수 있는 나라에서 우리는 우리의 자서전을 증명해야만 한다

728x90
728x90

**리눅스 기본 시스템 확인 명령어** 
#아래 명령어들은 리눅스에서 시스템상태 확인등을 위해 사용하는 기본적 명령어 입니다. 
 
1. free -m  
#현재 사용중인 메모리 상태를 보여 주는 명령어 

             total       used       free     shared    buffers     cached 
Mem:          1011        612        399          0         74        306 
-/+ buffers/cache:        231        780 
Swap:         1608          0       1608 
 
1) total(총 메모리) used(사용중인 메모리) free(사용가능 메모리) shared(공유중인 메모리) buffers(버퍼 메모리) cached(캐쉬 메모리)

2) buffers(버퍼 메모리)와 cached(캐쉬 메모리) : 프로세스가 실행중에 필요한 여러 데이터를 메모리에서 유지하여 차후 다시 사용 될때 처리 속도를 향상 시킬수 있다 버퍼와 캐쉬의 차이는 버퍼는 무슨 디렉토리이며 파일 권한은 어떻게 되고, 어떤 메모리가 특정 블럭 디바이스에 대해 쓰여지거나 읽혔는지를 유지하는 반면 캐쉬는 단지 파일의 내용 그 자체만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3) 옵션 b,k,m,g 표시 단위를 지정할수 있음 

4) o 옛날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 버퍼량이 표시 되지 않는다 ) 

5) t 실 메모리와 가상 메모리의 합이 표시 된다.

6) s 초단위로 업데이트 하며 메모리를 체크 할수 있다. 
 
2. top 
#시스템의 전반적인 움직임을 한눈에 보여주는 유틸리티 

top - 18:43:30 up 12 days,  7:11, 26 users,  load average: 0.13, 0.27, 0.61
Tasks: 194 total,   1 running, 192 sleeping,   0 stopped,   1 zombie
Cpu(s):  7.9%us,  5.2%sy,  0.0%ni, 86.7%id,  0.0%wa,  0.0%hi,  0.2%si,  0.0%st
Mem:   1035324k total,   978724k used,    56600k free,   161544k buffers
Swap:  1951888k total,   326044k used,  1625844k free,   276636k cached

  PID USER      PR  NI  VIRT  RES  SHR S %CPU %MEM    TIME+  COMMAND                                                                                         
 5960 odoacer   20   0 99188  15m  10m S    3  1.5 244:24.31 compiz.real                                                                                     
 5604 root      20   0  154m  40m 8452 S    3  4.1 293:00.27 Xorg                                                                                            
 6150 odoacer   20   0  143m  73m  10m S    1  7.2   2:37.46 gnome-terminal                                                                                  
 5359 snmp      20   0  8464 1580 1244 S    1  0.2   2:33.45 snmpd                                                                                           
 5884 odoacer   20   0 27948 6200 5192 S    1  0.6   3:58.54 scim-panel-gtk   
 
1) top - 18:43:30(시스템 현재 시간)  up 12 days,  7:11(부팅후 시스템 운영 시간),  26 users(사용자 숫자),  load average: 0.13, 0.27, 0.61(시스템의 1,5,15분 평균 부하률)
 
2) Tasks: 194 total(현재 진행중인 프로세스 토탈 194개), 1 running(1개 동작중), 192 sleeping(192개 슬리핑모드), 0 stopped(중지된거 없음), 1 zombie(좀비 프로세서 1개)

3) Cpu(s): 7.9%us,  5.2%sy,  0.0%ni, 86.7%id,  0.0%wa,  0.0%hi,  0.2%si,  0.0%st(cpu 사용률을 전반적으로 보여줌, 유저 사용, 시스템 사용, 현재 사용 가능한 량 표시)

4) Mem: 1035324k total,   978724k used,    56600k free,   161544k buffers(시스템 메모리를 보여주는 행 총량, 사용중인량, 사용 가능량, 버퍼링 메모리)

5) Swap: 1951888k total,   326044k used,  1625844k free,   276636k cached(스왑 용량 표시)

6) PID(프로세서를 나타내는 넘버) USER(실행자) PR(프로세서 우선순위) NI(프로그램 우선순위 변경값) VIRT(가상메모리 사용량) RES(물리 메모리 사용량) SHR(실제 사용 가능한 공유 메모리량)  S(프로세스 상태(run,sleep,zombi)) %CPU(cpu 사용량 %) %MEM(메모리 사용량 %) TIME+(프로세스가 실행된 총 시간) COMMAND(실행 명령어)

7) VIRT(가상메모리 사용량) RES(물리 메모리 사용량) SHR(분할된 페이지 용량) 의 차이점
-VIRT는 프로그램이 실제 사용하는 메모리의 총량을 의미한다, 이는 공유 라이브러리들 그리고 다른 프로세스들과 공유하는 메모리등을 포함 함다. 
RES 는 실제 물리적 메모리 사용량을 나타낸고 SHR은 VIRT 크기중 얼마만큼이 실제 공유가능한(메모리 또는 라이브러리들)가를 나타낸다

3. ps -ef 
# 현재 동작 중인 프로세스들을 보여주는 명령어 
 
UID        PID  PPID  C STIME TTY          TIME CMD 
root         1     0  0 09:03 ?        00:00:01 /sbin/init 
root         2     0  0 09:03 ?        00:00:00 [kthreadd] 
 
1)UID(사용자)  PID(프로세스 넘버) PPID(부모프로세서 pid) C(cpu사용량) STIME(프로세스 진행시간) TTY(프로세스와 연결된 터미널) TIME(cpu 사용시간) CMD(명령어)

2)PID(Process ID) 와 PPID(Parent Process ID) : 프로세서 식별용 값을 의미하며 리눅스는 기본적으로 0,1,2 의 프로세스를 기본으로 가지고 시작되며 이중 1번이 거의 대부분의 프로세스 들의 부모 역할을 한다, 이는 리눅스 시스템에 특성에 기반한것으로 1번 프로세서에서 fork 되어 생성되기 때문에 부모 프로세서가 종료 되면 하위 프로세서들은 모두 종료 된다.

4. vmstat
# 시스템 리소스(메모리,cpu,i/0)를 모니터링 해주는 명령어 
 
procs -----------memory---------- ---swap-- -----io---- -system-- ----cpu---- 
 r  b   swpd   free   buff  cache   si   so    bi    bo   in   cs us sy id wa 
 1  0      0 407520  76824 314244    0    0    90    32   86  385  3  1 93  3 
 
1)proc : r(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 수) b(슬립 상태인 프로세스수)

2)memory : swpd(사용중인 스왑 메모리) free(사용가능 메모리) buff(버퍼로 사용중인 메모리) cache(캐시로 사용중인 메모리)

3)swap : si(스왑 인), so(스왑 아웃) 메모리 상태에 따라 부족하면 스왑 아웃으로 메모리를 확보하고 필요에따라 다시 스왑인을 하게 된다.

4)io : bi(초당 블럭 디바이스로 보내는 블럭 수), bo(초당 블럭 디바이스에서 받는 블럭 수) 물리 디스크에 읽고 쓰기 속력을 의미 한다.

5)system : in(초당 인터럽트 되는 양), cs(초당 context switch 되는 양), 인터럽트란 동시에 여러 프로세스가 진행될때 필요에 따라 프로세스 사이에 시스템에 제어권을 넘겨주기 위한 알고리즘을 의미한다. 하드웨어는 한번에 한가지 일만 처리 할수 있지만 인터럽트를 이용하게 되면 여러 프로세스가 순차적으로 시스템 제어권을 주고 받을수 있기 때문에 멀티태스킹이 가능해 진다. 문맥교환(context switch)은 인터럽트 발생시 기존에 프로세서에 대한 정보를 프로세스 블럭에 기록하고 시스템 제어권을 변경하는 작업을 의미 한다.

6)cpu : us(사용자 사용 시간 비율) sy(시스템 사용 시간 비율) id(대기 상태중인 비율) wa(wait) 
 
5. uptime 
# 현재 시스템에 사용 시간및 유저수, 시스템 로드 들을 보여주는 명령어  

09:38:37 up 34 min,  3 users,  load average: 0.00, 0.01, 0.05 
1)09:38:37(현재 시간) up 34 min(시스템 시작후 경과 시간), 3 users(사용자수), load average 0.00, 0.01, 0.05(시스템의 1분,5분,15분 평균 부하률)
 
6. netstat -nlp
#현재 시스템에 연결 되었거나 연결될 목록을 프로토콜과 함께 보여주는 명령어 

Active Internet connections (only servers)
Proto Recv-Q Send-Q Local Address           Foreign Address         State       PID/Program name
tcp        0      0 0.0.0.0:24800           0.0.0.0:*               LISTEN      8328/synergys   
tcp        0      0 127.0.0.1:3306          0.0.0.0:*               LISTEN      5101/mysqld     
tcp        0      0 0.0.0.0:80              0.0.0.0:*               LISTEN      5685/apache2    
tcp        0      0 0.0.0.0:21              0.0.0.0:*               LISTEN      5374/vsftpd     
tcp        0      0 127.0.0.1:631           0.0.0.0:*               LISTEN      5207/cupsd      
tcp6       0      0 :::22                   :::*                    LISTEN      4974/sshd       
udp        0      0 0.0.0.0:41368           0.0.0.0:*                           5007/avahi-daemon: 
udp        0      0 127.0.0.1:161           0.0.0.0:*                           5359/snmpd      
udp        0      0 0.0.0.0:39908           0.0.0.0:*                           22037/openvpn   
udp        0      0 0.0.0.0:5353            0.0.0.0:*                           5007/avahi-daemon: 
udp        0      0 0.0.0.0:39922           0.0.0.0:*                           22053/openvpn   
udp        0      0 0.0.0.0:631             0.0.0.0:*                           5207/cupsd      
Active UNIX domain sockets (only servers)
Proto RefCnt Flags       Type       State         I-Node   PID/Program name    Path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13105    5451/hald           @/var/run/hald/dbus-RTrEWJV6QF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14141    5851/gconfd-2       /tmp/orbit-odoacer/linc-16db-0-7aa3f96384bf8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14148    5857/seahorse-agent /tmp/orbit-odoacer/linc-16a1-0-2d5475b0947d3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14458    5793/x-session-mana /tmp/seahorse-7zk2aa/S.gpg-agent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14496    5793/x-session-mana /tmp/orbit-odoacer/linc-16a1-0-4abf9a95d04e1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14500    5793/x-session-mana /tmp/.ICE-unix/5793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14513    5860/gnome-keyring- /tmp/orbit-odoacer/linc-16e3-0-71a817e157abd

 
1)Proto : 사용 프로토콜

2)Recv-Q Send-Q : 데이타를 보내고 받을때 사용하는 소켓 버퍼를 의미함

3)Local Address Foreign Address : 현 시스템 ip 및 사용 포트 외부에 연결 되어 있는 ip

4)State : 연결상태

5)PID/Program name : 프로세스의 숫자로 표시된 id 및 프로세스 이름

6)state 값
- LISTEN : 관련 데몬이 대기중이며 연결 가능한 상태 
- SYS-SENT : 연결을 요청한 상태 
- SYS_RECEIVED : 연결요구에 대한 응답을 준 후 확인 메시지를 기다리는 상태 
- ESTABLISHED : 3웨이 핸드쉐이크 과정이 끝나고 연결이 완료된 상태 
- FIN-WAIT1, CLOSE-WAIT, FIN-WAIT2 : 연결 종료를 요청 받은후 종료되는 과정 
- CLOSING : 전송된 메시지가 유실된 상태를 나타냄 
- TIME-WAIT : 연결종료 후에 한동안 유지하고 있는 상태 
- CLOSED : 연결이 완전히 종료된 상태

7)socket type : 
스트림소켓(Stream socket,연결방식 ) : 신뢰도가 높으며 tcp 프로토콜을 사용해 순착적으로 전달 된다. 데이타그램소켓(Datagram socket, 비연결 방식) : 신뢰도가 낮은 udp 프로토콜을 사용해 비순차 적을 전달 된다. raw소켓(raw socket) : IP와 ICMP 프로세스의 액세스를 제공하는 소켓이다.

8)RefCnt : 해당 도메인을 사용하는 포로세스의 수
 
7. ifconfig 
#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확인하는 명령어 
 
1) eth0 Link encap:Ethernet(연결형태 이더넷)  HWaddr 00:16:E6:4C:98:88(인터페이스 하드웨어 맥어드레스)

2) inet addr:10.0.0.117(인터페이스에 할당된 ip)  Bcast:10.0.0.255(브로드캐스트로 설정된ip)  Mask:255.255.255.0(서브넷 마스크 ip)

3) inet6 addr: fe80::216:e6ff:fe4c:9888/64 Scope:Link(인터페이스에 할당된 ipv6 형태의 ip)

4) UP BROADCAST RUNNING MULTICAST  MTU:1500(최대 전송단위(mtu))  Metric:1
5) RX packets:21685 errors:0 dropped:0 overruns:0 frame:0
* 수신 패킷의 총 수(packets)와 에러(errors)로 유실되거나 장비에서 드롭(dropped) 시킨 패킷, overrun 은 장치에 능력 이상으로 들어와서 놓친 패킷을 의미하고, frame 단위(비 정형화 된 단위)로 주고 받은 패킷의 수를 의미 합니다.

6) TX packets:14837 errors:0 dropped:0 overruns:0 carrier:0                    
* 송신 패킷의 총수(packets) , 오류(errors) , 장비에서 드롭(dropped) 시킨 패킷수, 장치 능력 이상에 패킷이 들어와 놓친 수(overruns), 감지된 반송파(carrier) 의 수를 나타냄

7) collisions:0(충돌 난 패킷의 수) txqueuelen:1000(송신큐의 크기)

8) RX bytes:12886685 (12.2 MB)  TX bytes:3476559 (3.3 MB) (송수신 전송량)

9) Interrupt:17(사용하는 인터럽트 번호)



728x90
728x90

서버 ssh 접속이 느리다? 이유는 여러가지 있겠지만, 

 

아래의 내용에서 해결될 수 있다.

 

dns 서버를 설정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설정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1. dns 서버의 ip를 resolv.conf 파일에 입력한다.

$ vi /etc/resolv.conf

  nameserver 1.2.3.4

  nameserver 1.2.3.5

 

 

2. 그리고 network 를 재시작한다.

$ service network restart

 

728x90
728x90

오늘날 판매자와 공급자가 거래하는 곳이 시장이다. 시장에서 어느 정도의 거래가 이루어지는가는 상품시장(실물시장)에서는 가격, 자금시장(금융시장)에서는 금리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 결과 금리가 상승하면 수요가 감소하고 공급이 늘며 그 결과 수요가 너무 위축되고, 공급과잉이 되면 반대로 가격과 금리가 낮아진다. 이러한 가격이나 금리를 매개로 하여 탄력적인 움직임으로 수급이 유연하게 조정되는 구조를 이룬다.

[네이버 지식백과] 시장 매커니즘 [market mechanism, 市場 매커니즘] (매일경제, 매경닷컴)

자본주의적 인간은 ‘노동하는 인간’이면서 ‘소비하는 인간’이다. 자본주의 초기에는 윤리적이고 합리적이고 근면한 노동하는 인간이 부각되었다. 그러나 후기 자본주의의 경우에는,‘소비하는 인간’에 초점이 맞추어 진다. 왜냐하면 거대한 슈퍼마켓이 되어버린 소비 사회에서 대중은 열광적인 상품 소비자가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소비하는 인간’은 ‘세련된 감성’을 가지고 “감각으로 승부하는” 심미적 인간이 되었다. 그는 상품 소비 과정에서 자기를 표현하고 자아의 내용을 채워 나간다. 그래서 상품 광고에서도 ‘개성’이 가장 중요한 문구로 등장한다. 여기서 대중문화는 소비자 개인이 자아의 내용을 채워 심미적 삶이 가능할 수 있도록 기술 문명을 이용하여 문화의 상업화를 이루게 된다. 심미적 삶은 과거에는 귀족에게나 가능했던 삶이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시민 모두가 심미적 삶을 맛볼 수 있도록 귀족 문화의 상품화가 이루어지고 대중문화를 예술적 외관으로 치장하여, 옷도 예술작품이 되고 대중가요 작곡자도 예술가가 되고, 심지어는 TV광고까지 예술이 되어 대중문화는 온통 ‘예술’로 가득 차 있다. 이로써 소비는 심미적 삶을 추구하는 미덕이 되고 절제는 교양 없고 세련되지 못한 인간에 이르는 지름길이 된다.
  대중문화의 특징인 유행은 심미적 삶을 목표로 내걸고 끊임없이 소비를 추동하기 위한 현대 자본주의의 필수적 메카니즘이다. 현대 사회의 중요한 특징 중에 하나는 재교육, 재충전이 일반화되어 있다는 것이다. 직장에서 좌천되거나 쫓겨나지 않으려면 시대의 흐름에 맞게 새로운 지식과 기술로 재충전해야한다. 한 때, 기업에서 임원들이 컴퓨터를 공부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프랑스의 문화철학자 보드리야르에 의하면 유행은 재교육, 재충전이라는 현재사회의 일반적인 특징이 문화영역에서 드러나는 현상이다. 유행은 주기를 가진다. 사람들은 누구나 최신 정보를 구해서, 매년 혹은 매월 아니면 계절마다 옷이나 장신구나 자동차를 바꾸게 된다. 소비 사회의 시민권을 유지하려면 반드시 그래야 한다. 그러나 지식이나 기술의 재교육과 유행은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둘 다 새로움을 추구하지만 그 원인이 전혀 다르다. 앞의 경우는 지식과 기술이 진보하고 발전하기 때문에 재교육이 필수적인 것이지만, 유행의 경우는 진보와는 관계가 없다. 유행은 제멋 대로이고 불안정하면서도 주기적이다. 그리고 개인의 내적 자질에 덧붙여주는 것이 없으면서도 무시할 수 없는 강제력을 가진다.
  유행이라는 현상은 일정한 시간 안에 새로운 물건들이 생산되어 나와야 하는 시장의 본질에서 비롯된 것이다. 사용가치의 측면에서만 새로움을 추구할 경우 시장은 일정기간 정체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이윤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아직 사용 가치가 남아있는 물건들을 의도적으로 폐기 처분할 수 있는 통로가 필요한데 유행이 바로 그 통로이다. 따라서 유행은 상품의 사용 가치보다는 미적 가치의 재충전을 핵심으로 하여, 이전의 미적 가치로부터 완전히 이탈할 것을  요구한다. 이제 문화와 예술이 얼마나 오래 지속되면서 얼마나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얼마나 많은 사람을 감동시킬 것인가 하는 관심에서 창조되던 시대는 끝났다.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는 명언은 대중문화에서는 통하지 않게 되었다. 오늘날 대중문화는 매년 모델이 바뀌는 자동차처럼 어떻게 하면 새로운 기술과 빨리 결합해서 반짝이는 새로운 것을 만들어 볼까 하는 ‘새것 찾는 놀이’처럼 되어 버렸다.

[

 

허구적 상품 : 노동력,토지,화폐

19세기 전국시장의 등장과 함께 기계제 생산방식 도입.생산의 영역이 자본주의에 의해 장악됨.투자리스크를 보장하기 위해 국가 개입이 당연시됨.

기계에 의한 상품 생산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노동력의 안정적 공급 필요.

노동력의 상품화 과정: 이전에 노동자는 토지와 분리되지 않음.19세기 산업자본주의 하에서 노동자의 전통 사회의 보호장치가 해체됨.영국의 경우 스핀햄랜드법(구지주의 공동체 복귀노력) 과 신 구빈법(빈민구제 목적,열악한 환경)이 노동력의 상품화 경향성의 예. 노동자들은 '기아의 위협' 이라는 규율에 따라 아사할 것인가 노동할 것인가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놓임.즉 노동의 상품화는 '기아의 규율'에 의해 만들어짐

 

폴라니는 시장경제가 노동(인간), 토지(자연), 화폐(구매력)마저 상품화시켰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폴라니에게 자기조정적 시장에 근거한 시장경제는 결코 달성할 수 없는 유토피아일 뿐이었다. 사회에 “묻어 들어” 있던 경제가 이탈하면서 사회의 안정성을 위협해 불안정을 심화시키기 때문이다. 그래서 폴라니는 시장경제의 필연적 귀결이 바로 파시즘과 전쟁이며, 파시즘의 원인이 영국의 산업혁명과 리카도에게 있다고 주장했다.

사회가 파편화하고 붕괴할 위험에 처할 때 등장하는 사회의 자기보호를 위한 반작용을 폴라니는 “이중 운동”으로 설명한다. 폴라니는 “노동, 토지, 화폐의 상품화가 언제나 시장경제의 본질이지만, 만일 ‘악마의 맷돌’과 같은 시장 기제로부터 인간과 자연 그리고 경제조직이 보호되지 않았다면 어떤 사회도 잠시도 견뎌내지 못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노동시장에서는 노동조합이 합법화되면서 노조와 노동자 정당이 등장해 사회적 보호운동의 주된 담당자가 됐고, 토지를 시장의 법칙에 내맡기는 시도에 대한 보호운동으로 보수적인 토리당의 입법 활동이 나타났다. 화폐시장에서도 금본위제가 해체되고 통화량에 대한 중앙은행의 개입이 있었다.

 

 

생산은 인간과 자연의 상호작용으로 생산 과정이 물물교역과 교환의 자기 조정 메커니즘을 통해 조직된다면 인간과 자연도 그 메커니즘 안에 들어가지 않을 수 없다. 즉 인간과 자연도 수요와 공급 법칙에 종속되어야만 하며, 판매를 위해 생산된 재화로 취급되어야만 하게 되는 것이다. 시장 체제의 제도란 바로 이런 것이다. 인간은 노동, 자연은 토지라는 이름 아래 시장에서 구입될 수 있는 것으로 변했다. 또한 노동력의 사용은 임금으로 불리고 토지의 사용은 지대로 불리게 되었다. 토지와 노동에도 시장이 생겨났고, 그 수요와 공급은 임금과 지대가 얼마나 높은가에 따라 규제되었다. 사람들은 노동과 토지가 판매를 위해 생산된 것이라는 허구를 일관되게 받아들였다. 토지와 노동의 다양한 결합에 투자되는 자본은 따라서 한 생산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었는데 이것은 다양한 생산 영역에서 여러 소득들을 자동으로 평준화시키는 데 반드시 필요한 것이었다. 하지만 이런 식의 생산의 조직은 이ㄴ적인 것으로 토양과 인간의 운명을 시장에 내맡기는 것이 곧 그것들을 파멸시키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사실을 그 상품 허구는 무시했다. 따라서 반대 운동의 핵심은 생산 요소인 토지와 노동에 관한 시장의 활동을 억제하는 것이었다. 이것이 개입주의(Interventionism)의 주요한 기능이었다.

 

 

 생산 조직도 같은 이유로 위협받았다. 개별 기업들이 물가 수준의 변동에 따라 영향을 받는 한, 산업과 농업과 상업을 통틀어 마찬가지로 위험에 처하게 된다. 시장 체제에서는 가격 수준이 떨어지면 영리 활동은 찬 서리를 맞는 법이다. 그 경우 영속 기업은 그 생산 비용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가격이 모두 같은 비율로 떨어지지 않는 한 파산하지 않을 수 없는데, 가격 수준의 하락은 전반적인 비용 하락 때문이 아니라 오로지 통화 자체가 조직되는 방식 때문일 수도 있었으며 실제로 자기 조정 시장에서는 후자가 원인이었다. 자기 조정 시장에서는 원칙적으로 시장의 활동 자체가 구매력을 공급하고 규제한다. 이것은 고전파의 화폐 이론에 담겨있는 의미로, 화폐란 우연히 화폐의 기능을 맡게 된 상품일 뿐이며 따라서 화폐의 양을 통제하는 것은 그 화폐 상품의 수요와 공급이라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었다. 이 원칙에 따르면 화폐란 다른 것들보다 더 자주 교환 수단으로 사용되는 상품의 다른 이름일 뿐이며 사람들이 화폐를 얻으려는 목적인 주로 교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라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건의 가치는 사람들이 어떤 목적으로 그것을 쓰기위해 얻으려는 가운데 결정되는 것인바, 화폐로 기능하는 상품의 가치 또한 이와 동일한 원칙으로 결정된다는 것이다. 만약 어쩌다 화폐로 쓰게 된 상품이 황금이라 해도, 그 가치와 양, 유통은 다른 상품들에 적용되는 것과 완전히 똑같은 법칙으로 결정된다. 그러나 만약 황금 이외의 무언가가 교환 수단으로 사용된다면 이는 시장의 바깥에서 통화의 창출이 이루어지는 것을 뜻하며, 은행이든 정부든 시장 밖에서의 통화 창출 행위는 시장의 자기 조정을 방해하는 것이 된다. 여기서의 핵심은 화폐로 쓰이는 재화도 다른 생품들과 같은 것이므로 그 수요와 공급은 시장에 의해 규제되어야 하며, 화폐에 간접 교환 수단 이외의 성격을 부여하는 모든 관념은 그릇된 생각이라는 것이다. 또한 금이 화폐로 쓰리고 있다면 은행이 발행한 지폐는 마땅히 금을 표상해야 한다는 결론이 나오게 되며, 이러한 원칙으로 리카도 학파가 잉글랜드 은행의 통화 공급을 조직하고자 했다.

 

 

 사회의 실체라 할 자연과 인간에 일어났던 것과 매우 비슷한 상황이 기업에 대해서도 벌어지게 되었다. 자지 조정 시장은 이 세가지를 모두 위협했다. 상품 허구를 노동력에 적용할 때 나타나는 인간에 대한 위협에 대해 공장 입법과 사회 입법이 필요했고, 토지에 대해서는 자연 자원과 농촌 문화를 보호하기 위해 토지 관련 법률과 농업 관세가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상품 허구를 화폐에 적용하는데 내포된 위험에서 공장이나 다른 생산 기업들을 보호하기 위해 중앙은행과 관리 통화 체제가 필요했다. 인간과 자연 자원뿐만 아니라 자본주의적 생산 조직 자체도 자기 조정 시장의 파괴 효과를 피해야 했던 역설적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앞서서 이중적 운동이라 부른 것으로 되돌아가자면 이것은 사회안에서 작동하는 두 가지 조직 원리의 활동으로 인격화 할 수 있다. 첫째 원리는 경제적 자유주의로, 자기 조정 시장의 확립을 목적으로 사업에 종사하는 사회 계급의 지지에 의존하며 대체로 자유방임이나 자유무역이라는 방법을 택한다. 다른 하나는 사회 보호의 원리로, 인간과 자연, 생산 조직을 보호하고자 하며, 시장의 해로운 운동의 영향을 가장 직접적으로 받는 노동 계금과 토지 계급의 다양한 지지에 의존하고, 보호 입법이나 경제 규제를 위한 연대 및 기타 경제 개입 수단들을 방법으로 한다. 여기서 계급에 강조점을 두는 것이 중요하다. 토지 계급, 중간 계급, 노동 계급이 사회에서 담당했던 역할이 19세기 사회사 전체의 모양을 결정했다. 중간 계급은 막 생겨나던 시장 경제의 담지자들로 이들의 사업적 이익은 대체로 생산과 고용 창출과 관련된 사회 전체의 이익과 일치했다. 경기가 좋아지면 일자리가 생기고 부동산 소유자들이 지대 소득을 얻었으며, 시장이 확장되면 투자가 활발해졌다. 또한 사업가 공동체가 외국인들과 경쟁하여 성공을 거두면 외환 가치도 안정되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시장 경제 때문에 노동자의 건강이 착취당하고, 가족의 삶이 파괴되며, 주거지역이 폐허가 되고, 삼림이 벌거숭이가 되며, 강물이 오염되고, 작업 기술의 수준이 형편없이 떨어지며, 민속 전통이 무너지고, 주거 양식이나 예술 등과 같이 이윤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수많은 사회적 삶의 형식이 전반적으로 저질화되었다. 이 가운데서 사업에 종사하는 계급은 그 속에 내포된 위험을 감지하지 못했다. 중간 계급은 이윤이 사회 전반에 혜택을 준다는 믿음을 발전시켰지만, 그 지점에만 천착한 나머지 생산의 확장 만큼이나 필수적인 다른 이익들에 대해서는 수호자의 자격을 잃게 되었다. 여기서 중간 계급처럼 비싸고 복잡한 특수 용도의 기계를 쓰는 ‘생산에 종사하지 않는 여타 계급’들에게 기회가 주어졌다. 대체로 토지 귀족과 농민에게는 군사력을 지키는 임무가 주어졌으니 군사력의 질은 여전히 국토와 사람들에 의해 좌우되었다. 노동자들은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아무도 돌보지 않게 된 보편적인 인간의 이해를 대표하는 존재가 되었다. 그러나 때때로 각 계급은 스스로 의식하지도 못하는 가운데 자신의 계급 이익보다 더 폭넓은 보편적 이익을 위해 일어서게 되었다. 19세기 말엽에는 보통 선거가 보편화되고 노동 계급이 국가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사업 종사 계급은 법 제정에 대해 일방적으로 좌우할 수 없게 되자 자신들이 산업에서 쥐고 있는 주도권에 정치적 권력이 내포되어 있음을 자각하게 되었다. 이런 분리 현상에도 시장 체제가 큰 긴장이나 무리없이 작동하면 별 문제가 되지 않았겠으나 본질적으로 모순이 내재되어 있어서 그 작동에 무리를 빚게 되었다. 사회 계급들 간에 갈등이 깊어지게 되어 한 쪽은 정부와 국가를, 다른 쪽은 경제와 산업을 자신들의 요새로 만들어버리며 사회 전체가 위험에 빠지게 되었다. 사회의 핵심적인 두 기능인 정치 영역과 경제 영역이 분파적 이익을 위한 투쟁의 무기로 사용되고 또 남용되었던 것이다. 20세기 들어서 이 교착 상태에서 파시즘이라는 위기가 나타난다.

폴라니의 경제사상을 이해하는 주요 개념은 ‘허구적 상품’과 ‘이탈된 시장경제’다. 폴라니에게 상품이란 “시장에서 판매되기 위해 생산되는 것”이다. 이런 ‘경험적 정의’에 비춰볼 때 “노동, 토지, 화폐는 상품이 아니다”. 노동은 “생활 그 자체와 함께 하는 것”이고, 토지는 “인간에 의해 생산되지 않은 자연의 다른 이름”이며, 화폐는 “결코 생산되지 않은 것이 원칙이며 은행이나 국가 재정의 메커니즘을 통해 존재하게 되는 구매력의 표시일뿐”이다.

 

그의 주장의 핵심은 시장자본주의가 자기조정적 시장이 되려면 상품이 될 수 없는 자연, 인간, 화폐를 부동산, 노동, 자본이라는 상품으로 간주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허구적 상품에 기반을 둔 시장자본주의의 귀결은 광범위하고 파괴적인 사회의 변동이며, “사회가 시장경제에 매몰되는” 사태를 빚게 된다는 것이다.

 

폴라니는 주류 경제학과 달리 시장경제의 3원소로 통하는 교역, 화폐, 시장들을 불가분한 통일체로 파악하지 않는다. 그는 고대사 연구를 통해 발생학적으로 “이들 3요소는 서로 다른 기원들을 갖고 있으며, 서로 다른 사회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다르게 기능했으며, 반드시 동거하지 않는다”는 점을 밝혔다. 화폐 또한 주류 경제학의 주장과 달리, 교환의 매개체, 지불수단, 가치의 척도, 부의 저장 수단 등 각종 기능이 애초부터 통합된 전목적적인 화폐로 존재한 게 아니라 각각 별개의 기원을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를테면 고대 바빌로니아에선 은이 계산화폐로, 대맥은 지불수단, 석유와 양모는 교환수단으로 사용됐다는 것이다. 폴라니에게 역사적으로 몇몇 교역형태와 화폐의 여러 가지 사용이 경제생활에서 중요성을 띤다는 점은 시장과 무관한 사실이며 시장보다 앞선 것이었다. 또 시장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수요-공급 메커니즘과 필연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었다. 가격(등가)은 원래 전통이나 권위에 의해 설정되는 것이며, 가격의 변경도 시장경제적 방식이 아니라 이러한 제도적 수준을 통해서 이뤄졌다. 예컨대 함무라비 시대엔 관습이나 법령포고에 의한 등가의 형태를 띠었으며, 특히 생활필수품은 항구적인 등가(고정가격)를 좇았다. 원시사회의 수렵 등 경제활동의 동기는 이윤이 아니라 공동체 내부의 명예나 존경이었다는 폴라니의 지적도 음미해볼만하다. 폴라니가 강조했듯이, 과거를 재고려해야만 현재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얻을 수 있고 바람직한 미래의 창조가 유도될 수 있기 때문이다.


728x90
728x90

Full System Partition <-> LPAR 방법

Full System Partition(FSP)와 LPAR는 각 모드마다 사용하는 console device가 다르기 때문에 FSP <-> 
LPAR를 하기 위해서는 console deivce 재인식 절차를 수행해야 합니다.

1. Full System Mode -> LPAR

1. AIX V5.1인 경우 partition_ready 스크립트 수행 필요
: 수행시의 관련 로그는 /var/adm/ras/partition_ready.log 에 기록됨.
본 스크립트는 IY22854를 설치하며, AIX 5.1 ML 3 이상인 경우 이미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관 없다.

2. 필요 파일셋 설치 여부 확인
: lpar device에 관련된 fileset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 lslpp -l devices.chrp_lpar.base

3. 새로운 Partition에 포함될 자원들을 기록한 후 삭제한다.
: lsdev, rmdev 명령을 이용하여 LPAR mode로 변경 후 현 파티션에 포함하지 않을 디바이스를 정리한다.

4. 현재 boot disk와 연결 scsi adapter 정보를 확인한다.
# lscfg -vl hdisk0
  hdisk0          U1.9-P1/Z1-A8  16 Bit LVD SCSI Disk Drive (36400 MB)

        Manufacturer................IBM
        Machine Type and Model......ST336605LC
        FRU Number..................09P4445
        ROS Level and ID............43353037
        Serial Number...............00007E10
        EC Level....................H11936
        Part Number.................09P4444
        Device Specific.(Z0)........000003129F00013E
        Device Specific.(Z1)........0111C507
        Device Specific.(Z2)........1000
        Device Specific.(Z3)........02011
        Device Specific.(Z4)........0001
        Device Specific.(Z5)........22
        Device Specific.(Z6)........162870 C

# lscfg -vl scsi0
  scsi0            U1.9-P1/Z1  Wide/Ultra-3 SCSI I/O Controller

        Device Specific.(YL)........U1.9-P1/Z1
: boot disk가 연결되어 있는 I/O drawer 확인

5. 시스템을 shutdown하고 partition standby mode로 booting 한다.

6. LPAR profile을 생성한다. 관련 디바이스와 group_128을 포함해야 한다.

7. LPAR를 SMS mode로 activate 한다.

8. boot device가 “4”번에서 확인한 것과 동일한지 확인하고, 다를 경우 그와 동일하게 맞추어 준다.

9. 해당 partition booting을 진행한다.

10. 정상 부팅되었음을 확인한다. console 접속은 안되지만, telnet 등을 통한 접속은 가능하다.

11. console device를 LPAR Virtual Serial Adapter로 바꾸어 준다. 
  11.1. lscons --> /dev/tty0
  11.2. lsdev -Cl tty0 -F parent --> sa0
  11.3. lsdev -Cl sa0
        sa0    Available 01-S1      Standard I/O Serial Port              
        ==> LPAR mode인 경우 LPAR Virtual Serial Adapter로 변경해야 한다.
  11.4. lsdev -Cc tty --> tty0 and tty1
  11.5. lsdev -Cl tty1 -F parent --> sa3                                
  11.6. lsdev -Cl sa3                                                        
        sa3    Available      LPAR Virtual Serial Adapter                  
  11.7. chcons /dev/tty1                                                    
  11.8. reboot
  11.9. vterm(console)로 접속 가능하다.

2. LPAR -> Full System Partition Mode

1. 모든 LPAR및 시스템을 shutdown하고 full system mode로 booting 한다.

2. SMS 에서 멈추고 boot disk 설정이 바른지를 확인한다.

3. 해당 시스템 부팅을 계속한다.

4. 정상 부팅되었음을 확인한다. console 접속은 안되지만, telnet 등을 통한 접속은 가능하다.

5. console device를 Standard I/O Serial Port 로 바꾸어 준다. 
5.1 lsdev -Cc tty --> tty0 and tty1
5.2 lsdev -Cl tty0 -F parent --> sa0
5.3 lsdev -Cl sa0
sa0    Available 01-S1      Standard I/O Serial Port
5.4 chcons /dev/tty0
5.5  reboot
5.6 console로 접속 가능함.

728x90

'AIX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X와 SYSTEM P 소개  (0) 2019.10.14
728x90

아이코스 팝니다.


구성품 : 본품, 클리너 , 세척용알코올, 충전기, 박스 , 타코부 (담배)


판매가 : 7만원


직거래시 굴포천역 , 삼산체육관역


택배시  3500원 추가 입금 해주시면 배송해드립니다.


연락처 : 010 9784 1026



728x90
728x90

샤논(Shannon)의 전송용량

- 잡음이 있는 채널의 전송 속도는 그 주파수 대역폭과 신호대 잡음비에 의해 결정된다.
- 공식 : C = Blog2(1+S/N)
Capacity : 전송용량(bps), Bandwidth : 주파수 대역폭, Signal : 신호 세기 
Noise : 잡음 세기, S/N : 신호 대 잡음비
-> 전송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 주파수 대역폭 / 신호 세기 / 신호 대 잡음비 증가

기출) 4000Hz의 채널 폭을 가진 채널에서 음성 신호의 S/N비가 7이면 전송속도는?
- B = 4000, S/N = 7 이므로
- C = 4000 * log2(1+7) = 4000 * 3 = 12,000bps

728x90
728x90

2018년 2회 정보처리기사 필기시험 기출문제 답안

【1과목 : 20문제】

데이터베이스

1

2

3

4

5

6

7

8

9

10

1

4

3

2

4

2

3

3

3

2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3

2

1

1

3

3

2

2

1

1

【2과목 : 20문제】

전자계산기구조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

1

1

2

3

4

2

4

1

2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2

1,3

3

3

1

1

2

3

4

2

【3과목 : 20문제】

운영체제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1

4

4

1

4

2

3

3

1

4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3

3

2

2

2

3

3

4

1

4

【4과목 : 20문제】

소프트웨어공학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1

3

2

1

3

4

3

4

4

4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1

4

2

3

2

4

3

2

4

2

【5과목 : 20문제】

데이터통신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2

1

3

2

1

4

1

2

4

1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4

2

3

1

3

2

4

3

1

3

합격점수는 100점 만점에 60점(100문제 중 60문제) 이상입니다.

단, 과목별 100점 만점에 40점(20문제 중 8문제) 이상 득점하지 못한 과목이 있으면 과목낙제로 실격됩니다.

【오답 및 오타 문의】 건시스템(gunsys.com)

자격검정 시행기관에서 가답안으로 답항 1을 발표하였지만, 의견 수렴 후 결정한 확정답안은 답항 1, 3으로 변경한 문제입니다. (복수정답의 경우 하나만 선택하여도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자격검정 시행기관 발표 가답안 변경사유】

문항에서 제시된 “최근에 가장 적게 사용된 라인”에서는 시점(Recently)을 의미하는 “최근에”와 빈도(Frequent)를 의미하는 “적게”가 병행하여 제시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 본 문항의 중의적인 해석이 가능함으로 당초 가답안 ① LRU에서 확정답안 ① LRU와 ③LFU로 변경합니다.

본 문제지 파일에 수록된 기출문제 원저작권은 자격검정 시행기관인 한국산업인력공단에 있으며, 건시스템에서는 편집 및 재구성 작업만 하였음을 밝힙니다.

※ 아래 여백은 메모 용도로 활용하세요.

【1과목】 데이터베이스 (20문제)

1. 릴레이션에 포함되어 있는 튜플의 수는?

① Cardinality② Schema

③ Type④ Degree

2. 다음 자료를 버블 정렬을 이용하여 오름차순으로 정렬할 경우 PASS 2의 수행 결과는?

9, 6, 7, 3, 5

① 3, 5, 6, 7, 9② 6, 7, 3, 5, 9

③ 3, 5, 9, 6, 7④ 6, 3, 5, 7, 9

3. 릴레이션의 R의 차수가 4이고 카디널리티가 5이며, 릴레이션의 S의 차수가 6이고 카디널리티가 7일 때, 두 개의 릴레이션을 카티션 프로덕트한 결과의 새로운 릴레이션의 차수와 카디널리티는 얼마인가?

① 24, 35② 24, 12

③ 10, 35④ 10, 12

4. What are general configuration of indexed sequential file?

① Index area, Mark area, Overflow area

② Index area, Prime area, Overflow area

③ Index area, Mark area, Excess area

④ Index area, Prime area, Mark area

5. 데이터베이스 설계 시 물리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① 저장 레코드 양식 설계

② 레코드 집중의 분석 및 설계

③ 접근 경로 설계

④ 목표 DBMS에 맞는 스키마 설계

6. 다음 그림에서 트리의 차수(degree)는?

① 1② 2

③ 3④ 4

7. 릴레이션에서 기본키를 구성하는 속성은 널(Null)값이나 중복 값을 가질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제약조건은?

① 참조 무결성② 보안 무결성

③ 개체 무결성④ 정보 무결성

8. 다음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키(Key)를 설명하고 있다. 해당되는 키는?

한 릴레이션 내의 속성들의 집합으로 구성된 키로서,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모든 튜플에 대한 유일성은 만족시키지만 최소성은 만족시키지 못한다.

① 후보키② 대체키

③ 슈퍼키④ 외래키

9. “회사원”이라는 테이블에서 “사원명”을 검색할 때, “연락번호”가 Null 값이 아닌 “사원명”을 모두 찾을 경우의 SQL 질의로 옳은 것은?

① SELECT 사원명 FROM 회사원 WHERE 연락번호 !=NULL;

② SELECT 사원명 FROM 회사원 WHERE 연락번호<>=NULL;

③ SELECT 사원명 FROM 회사원 WHERE 연락번호 IS NOT NULL;

④ SELECT 사원명 FROM 회사원 WHERE 연락번호 DON'T NULL;

10. 다음 SQL문의 실행결과를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DROP TABLE 인사 CASCADE

① 인사 테이블을 제거한다.

② 인사 테이블을 참조하는 테이블과 인사테이블을 제거한다.

③ 인사 테이블이 참조중이면 제거하지 않는다.

④ 인사 테이블을 제거할 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다시 질의한다.

11. 병행제어의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시스템 활용도를 최대화

② 데이터베이스 공유도 최대화

③ 사용자에 대한 응답시간 최대화

④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 유지

12. 로킹 단위가 큰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로킹 오버헤드 증가, 데이터베이스 공유도 저하

② 로킹 오버헤드 감소, 데이터베이스 공유도 저하

③ 로킹 오버헤드 감소, 데이터베이스 공유도 증가

④ 로킹 오버헤드 증가, 데이터베이스 공유도 증가

13. SQL 구문에서 “having” 절은 반드시 어떤 구문과 사용되어야 하는가?

① GROUP BY② ORDER BY

③ UPDATE④ JOIN

14. 데이터의 중복으로 인하여 관계연산을 처리할 때 예기치 못한 곤란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이상(Anomaly)② 제한(Restriction)

③ 종속성(Dependency)④ 변환(Translation)

15. 정점이 5개인 방향 그래프가 가질 수 있는 최대 간선 수는? (단, 자기간선과 중복간선은 배제한다.)

① 7개② 10개

③ 20개④ 27개

16. DBA가 사용자 Park에게 테이블A의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는 시스템 권한을 부여하고자 하는 SQL문을 작성하고자 한다. 다음에 주어진 SQL문의 빈칸에 알맞게 채운 것은?

SQL>GRANT

테이블A To Park

① ㉠ INSERT, ㉡ INTO

② ㉠ ALTER, ㉡ TO

③ ㉠ UPDATE, ㉡ ON

④ ㉠ REPLACE, ㉡ IN

17. 다음 Postfix 연산식에 대한 연산결과로 옳은 것은?

3 4 * 5 6 * +

① 35② 42

③ 77④ 360

18. 정규화 과정에서 A → B이고 B → C 일 때 A → C 인 관계를 제거하는 단계는?

① 1NF → 2NF② 2NF → 3NF

③ 3NF → BCNF④ BCNF → 4NF

19. 다음 트리에 대한 INORDER 운행 결과는?

① D B A E C F② A B D C E F

③ D B E C F A④ A B C D E F

20. 관계대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원하는 릴레이션을 정의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비절차적 언어이다.

② 릴레이션 조작을 위한 연산의 집합으로 피연산자와 결과가 모두 릴레이션이다.

③ 일반 집합 연산과 순수 관계 연산으로 구분된다.

④ 질의에 대한 해를 구하기 위해 수행해야 할 연산의 순서를 명시한다.

【2과목】 전자계산기구조 (20문제)

21. 다중처리기를 사용하여 성능개선을 하고자 하는 것 중 주된 목표가 아닌 것은?

① 유연성② 신뢰성

③ 대중성④ 수행속도

22. CPU에 의해 참조되는 각 주소는 가상주소를 주기억장치의 실제주소로 변환하여야 한다. 이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mapping② blocking

③ buffering④ interleaving

23. 두 데이터의 비교(Compare)를 위한 논리연산은?

① XOR 연산

② AND 연산

③ OR 연산

④ NOT 연산

24. 논리곱(minterm)으로 표시된 다음 불대수(boolean function)를 간략화 한 것은? (단, d 함수는 don't care 임)

F(w, x, y, z) = Σ(1, 3, 7, 11, 15)

d(w, x, y, z) = Σ(0, 2, 5)

① ②

③ ④

25. 2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주기억장치에 기억시키고 CPU를 번갈아 사용하면서 처리하여 컴퓨터 시스템 자원 활용률을 극대화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기법은?

① 분산처리 프로그래밍

② 일괄처리 프로그래밍

③ 멀티프로그래밍

④ 리얼타임 프로그래밍

26. 수직적 마이크로명령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마이크로명령어의 비트 수가 감소된다.

② 제어 기억장치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③ 마이클로 명령어의 코드화된 비트들을 해독하기 위한 지연이 발생한다.

④ 마이크로명령어의 각 비트가 각 제어신호에 대응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27. 입력단자가 하나이며, 1이 입력될 때마다 출력단자의 상태가 바뀌는 플립플롭의 종류는?

① RS② T

③ D④ M/S

28. 컴퓨터 시스템에서 1-address machine, 2-address machine, 3-address machine으로 나눌 때 기준이 되는 것은?

① operation code

② 기억장치의 크기

③ register 수

④ operand의 address 수

29. 일반적인 제어 장치 모델에서 제어 장치로 입력되는 항목이 아닌 것은?

① CPU 내의 제어 신호들

② 클록

③ 명령어 레지스터

④ 플래그

30. Interrupt cycle에 대한 마이크로 오퍼레이션(micro-operation) 중에서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단, MAR : Memory Address Register, PC : Program Counter, M : memory, MBR : Memory Buffer Register, IEN : Interrupt Enable 이며, Interrupt Handler는 0 번지에 저장 되어있다고 가정한다.)

① MAR ← PC, PC ← PC+1

② MBR ← MAR, PC ← 0

③ M ← MBR, IEN ← 0

④ GO TO fetch cycle

31. 4x2 RAM을 이용하여 16x4 메모리를 구성하고자 할 경우에 필요한 4x2 RAM의 수는?

① 4개② 8개

③ 16개④ 32개

32. 캐시의 라인 교체 정책 가운데, 최근에 가장 적게 사용된 라인부터 교체하는 정책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1, 3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① LRU② FIFO

③ LFU④ LIFO

33. 10진수 –14를 2의 보수 표현법을 이용하여 8비트 레지스터에 저장하였을 때, 이를 오른쪽으로 1비트 산술 시프트했을 때의 결과는?

① 10000111② 00000111

③ 11111001④ 01111001

34. 다음은 DMA의 데이터 전송 절차를 나열한 것이다. 순서를 가장 옳게 나열한 것은?

ⓐ 데이터 전송(data transfer)

ⓑ 버스 사용 요구(bus request)

ⓒ 인터럽트(interrupt)

ⓓ 버스 사용 허가(bus grant)

① ⓐ → ⓑ → ⓒ → ⓓ

② ⓒ → ⓑ → ⓓ → ⓐ

③ ⓑ → ⓓ → ⓐ → ⓒ

④ ⓓ → ⓒ → ⓑ → ⓐ

35. 병렬컴퓨터에서 처리요소의 성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단위는?

① MIPS② BPS

③ IPS④ LPM

36. 다음 중 누산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연산장치에 있는 레지스터의 하나로서 연산 결과를 기억하는 장치이다.

② 입출력장치에 있는 회로로서 가감승제 계산 및 논리 연산을 행하는 장치이다.

③ 일정한 입력 숫자들을 더하여 그 누계만을 항상 보관하는 장치이다.

④ 부동소수점과 같은 정밀 계산을 위해 특별히 만들어 두어 유효 숫자의 개수를 늘리기 위한 것이다.

37. 다음 중 비교적 속도가 빠른 자기디스크에 연결하는 채널은?

① 바이트 채널

② 셀렉터 채널

③ 서브 채널

④ 멀티플렉서 채널

38. ASCⅡ 코드의 비트구성은 존(zone)비트와 수(digit)비트로 구분된다. 존(zone)비트는 몇 비트인가?

① 1비트② 2비트

③ 3비트④ 4비트

39.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되는 동작이 아닌 것은?

① input/output② branch

③ status sense④ RNI(fetch)

40. 다음 중 프로그램 카운터(PC)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곱셈과 나눗셈 명령어를 위한 누산기로 사용된다.

② 다음에 인출할 명령어의 메모리 주소를 가지고 있다.

③ 고속 메모리 전송명령을 위해 사용된다.

④ CPU의 동작을 제어하는 플래그를 가지고 있다.

【3과목】 운영체제 (20문제)

41. 가상기억장치 구현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가상기억장치 기법은 말 그대로 가상적인 것으로 현재 실무에서는 실현되는 방법이 아니다.

② 가상기억장치를 구현하는 일반적 방법에는 Paging과 Segmentation 기법이 있다.

③ 주기억장치의 이용률과 다중 프로그래밍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④ 주기억장치의 용량보다 큰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한다.

42. HRN방식으로 스케줄링 할 경우, 입력된 작업이 다음<표>와 같을 때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것은?

작업

대기

시간

서비스(실행)

시간

A

5

20

B

40

20

C

15

45

D

40

10

① A② B

③ C④ D

43. PCB를 갖고 있으며, 현재 실행 중 이거나 곧 실행 가능하며, CPU를 할당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정의할 수 있는 것은?

① 워킹 셋

② 세그먼테이션

③ 모니터

④ 프로세스

44. 매크로 프로세서가 수행해야 하는 기본적인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매크로 정의 확정

② 매크로 호출 인식

③ 매크로 정의 인식

④ 매크로 정의 저장

45. FIFO 스케줄링에서 3개의 작업 도착시간과 CPU 사용시간(burst time)이 다음 표와 같다. 이때 모든 작업들의 평균 반환시간(turn around time)은 약 얼마인가? (단, 소수점 이하는 반올림 처리한다.)

작업

도착

시간

CPU사용시간

(burst time)

JOB 1

0

13

JOB 2

3

35

JOB 3

8

2

① 16② 17

③ 20④ 33

46. 운영체제의 성능을 판단 할 수 있는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처리 능력② 비용

③ 신뢰도④ 사용가능도

47.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원 보호 기법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접근 제어 행렬(Access Control Matrix)

② 접근 제어 리스트(Access Control List)

③ 권한 행렬(Capability Matrix)

④ 권한 리스트(Capability List)

48. 비행기 제어, 교통 제어, 레이더 추적 등 정해진 시간에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작업들이 존재할 때, 가장 적합한 처리방식은?

① Batch processing system

② Time-sharing system

③ Real-time processing system

④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49. 비선점(Non-Preemptive) 스케줄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SRT(Shortest Remaining Time)

② FIFO(First In First Out)

③ 기한부(Deadline)

④ HRN(Highest Response-ration Next)

50. 프로세서의 상호 연결 구조 중 하이퍼 큐브 구조에서 각 CPU가 3개의 연결점을 가질 경우 총 CPU의 개수는?

① 2② 3

③ 4④ 8

51. 해싱 등의 사상 함수를 사용하여 레코드 키(Record Key)에 의한 주소 계산을 통해 레코드를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한 파일은?

① 순차 파일② 인덱스 파일

③ 직접 파일④ 다중 링 파일

52. 3개의 페이지 프레임(Frame)을 가진 기억장치에서 페이지 요청을 다음과 같은 페이지 번호 순으로 요청했을 때 교체 알고리즘으로 FIFO 방법을 사용한다면 몇 번의 페이지 부재(Fault)가 발생하는가? (단, 현재 기억장치는 모두 비어 있다고 가정한다.)

요청된 페이지 번호의 순서 : 2, 3, 2, 1, 5, 2, 4, 5, 3, 2, 5, 2

① 7번② 8번

③ 9번④ 10번

53. 운영체제에서 커널의 기능이 아닌 것은?

① 프로세스 생성, 종료

② 사용자 인터페이스

③ 기억 장치 할당, 회수

④ 파일 시스템 관리

54.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그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로더 :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억 장치로 적재

② 링커 : 사용자 프로그램 소스코드와 I/O 루틴과의 결합

③ 언어 번역기 : 고급언어로 작성된 사용자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

④ 디버거 : 실행시간 오류가 발생할 경우 기계 상태 검사 및 수정

55. 중앙 컴퓨터와 직접 연결되어 응답이 빠르고 통신비용이 적게 소요되지만, 중앙 컴퓨터에 장애가 발생되면 전체 시스템이 마비되는 분산 시스템의 위상 구조는?

① 완전연결(fully connected) 구조

② 성형(star) 구조

③ 계층(hierarchy) 구조

④ 환형(ring) 구조

56. SJF(Shortest-Job-First) 스케줄링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작업이 끝날 때까지의 실행시간 추정치가 가장 작은 작업을 먼저 실행시킨다.

② 작업 시간이 큰 경우 오랫동안 대기하여야 한다.

③ 각 프로세스의 프로세스 요구시간을 미리 예측하기 쉽다.

④ FIFO 기법보다 평균대기시간이 감소된다.

57. 유닉스의 i-node에 포함되는 정보가 아닌 것은?

① 디스크 상의 물리적 주소

② 파일 소유자의 사용자 식별

③ 파일이 처음 사용된 시간

④ 파일에 대한 링크 수

58. UNIX시스템의 특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대화식 운영체제이다.

② 쉽게 유지 보수할 수 있는 계층적 파일 시스템을 이용한다.

③ 멀티유저, 멀티태스킹을 지원한다.

④ 디렉터리는 효과적 구현이 가능한 이중 리스트 구조를 사용한다.

59. 교착상태와 은행원 알고리즘의 불안전상태(Unsafe Stat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교착상태는 불안전상태에 속한다.

② 불안전상태의 모든 시스템은 궁극적으로 교착상태에 빠지게 된다.

③ 불안전상태는 교착상태에 속한다.

④ 교착상태와 불안전상태는 서로 무관하다.

60. 운영체제를 기능상 분류했을 때, 제어 프로그램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 사이의 자료 전송, 파일의 조작 및 처리, 입출력 자료와 프로그램 간의 논리적 연결 등, 시스템에서 취급하는 파일과 데이터를 표준적인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① 문제 프로그램(problem program)

② 감시 프로그램(supervisor program)

③ 작업 제어 프로그램(job control program)

④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data management program)


【4과목】 소프트웨어공학 (20문제)


61. HIPO(Hierarchy Input Process Output)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상향식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문서화 도구이다.

② 구조도, 개요 도표 집합, 상세 도표 집합으로 구성된다.

③ 기능과 자료의 의존 관계를 동시에 표현할 수 있다.

④ 보기 쉽고 이해하기 쉽다.


62. 하향식 통합 검사(test)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시스템구조의 위층에 있는 모듈부터 아래층의 모듈로 내려오면서 통합한다.

② 일반적으로 스터브(stub)를 드라이버(driver)보다 쉽게 작성할 수 있다.

③ 검사 초기에는 시스템의 구조를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없다.

④ 상위층에서 검사 사례(test case)를 쓰기가 어렵다.


63. 소프트웨어 품질 목표 중 쉽게 배우고 사용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

① Reliability② Usability

③ Efficiency④ Integrity


64. 럼바우(Rumbaugh)의 객체지향 분석 절차를 가장 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 객체 모형 → 동적 모형 → 기능 모형

② 객체 모형 → 기능 모형 → 동적 모형

③ 기능 모형 → 동적 모형 → 객체 모형

④ 기능 모형 → 객체 모형 → 동적 모형


65. NS(Nassi-Schneiderman) chart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논리의 기술에 중점을 둔 도형식 표현 방법이다.

② 연속, 선택 및 다중 선택, 반복 등의 제어논리 구조로 표현한다.

③ 주로 화살표를 사용하여 논리적인 제어구조로 흐름을 표현한다.

④ 조건이 복합되어 있는 곳의 처리를 시각적으로 명확히 식별하는데 적합하다.


66. 객체지향 분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분석가에게 주요한 모델링 구성요소인 클래스, 객체, 속성, 연산들을 표현해서 문제를 모형화시킬 수 있게 해 준다.

② 객체지향관점은 모형화 표기법의 전후관계에서 객체의 분류, 속성들의 상속, 그리고 메시지의 통신 등을 결합한 것이다.

③ 객체는 클래스로부터 인스턴스화 되고, 이 클래스를 식별하는 것이 객체지향분석의 주요한 목적이다.

④ E-R 다이어그램은 객체지향분석의 표기법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67. 바람직한 소프트웨어 설계 지침이 아닌 것은?

① 적당한 모듈의 크기를 유지한다.

② 모듈 간의 접속 관계를 분석하여 복잡도와 중복을 줄인다.

③ 모듈 간의 결합도는 강할수록 바람직하다.

④ 모듈 간의 효과적인 제어를 위해 설계에서 계층적 자료 조직이 제시되어야 한다.


68. 소프트웨어 수명주기 모형 중 폭포수 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적용사례가 많다.

② 단계별 정의가 분명하다.

③ 단계별 산출물이 명확하다.

④ 요구사항의 변경이 용이하다.


69. 중앙집중형팀(책임프로그래머팀)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팀 리더의 개인적 능력이 가장 중요하다.

② 조직적으로 잘 구성된 중앙 집중식 구조이다.

③ 프로젝트 팀의 목표 설정 및 의사결정 권한이 팀 리더에게 주어진다.

④ 팀 구성원 간의 의사교류를 활성화시키므로 팀원의 참여도와 만족도를 증대시킨다.


70. 다음 검사의 기법 중 종류가 다른 하나는 무엇인가?

① 동치 분할 검사

② 원인 효과 그래프 검사

③ 비교 검사

④ 데이터 흐름 검사


71. 객체 지향 기법에서 하나 이상의 유사한 객체들을 묶어서 하나의 공통된 특성을 표현한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클래스② 함수

③ 메소드④ 메시지


72. 객체지향 모형에서 기능 모형(Functional model)의 설계 순서로 가장 옳은 것은?

ⓐ 기능의 내용을 상세히 기술

ⓑ 자료흐름도 작성(기능 의존 관계를 서술)

ⓒ 입출력 결정

ⓓ 제약사항을 결정하고 최소화

① ⓐ → ⓑ → ⓒ → ⓓ

② ⓐ → ⓒ → ⓑ → ⓓ

③ ⓒ → ⓓ → ⓐ → ⓑ

④ ⓒ → ⓑ → ⓐ → ⓓ

73. 비용 예측을 위한 기능 점수 방법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입력, 출력, 질의, 파일, 인터페이스의 개수로 소프트웨어의 규모를 표현한다.

② 기능 점수는 원시코드의 구현에 이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에 종속적이다.

③ 경험을 바탕으로 단순, 보통, 복잡한 정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한다.

④ 프로젝트의 영향도와 가중치의 합을 이용하여 실질기능점수를 계산한다.


74. 자료 사전에서 자료의 반복을 의미하는 것은?

① =② ( )

③ { }④ [ ]


75. CPM(Critical Path Method) 네트워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타당하지 않은 것은?

① 프로젝트 작업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며 최장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② 프로젝트 각 작업에 필요한 시간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③ 다른 일정계획안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④ 병행작업이 가능하도록 계획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자원할당도 가능하다.


76. 소프트웨어 재사용을 통한 장점이 아닌 것은?

① 개발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킨다.

② 소프트웨어 품질을 향상시킨다.

③ 생산성을 증가시킨다.

④ 고급 프로그래머 배출이 용이하다.


77. 블랙박스 검사 기법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한 것은?

㉠ 데이터 흐름 검사

㉡ 루프 검사

㉢ 동치 분할 검사

㉣ 경계값 분석

㉤ 원인 효과 그래픽 기법

㉥ 비교 검사

① ㉠, ㉡② ㉠, ㉡, ㉤, ㉥

③ ㉢, ㉣, ㉤, ㉥④ ㉠, ㉢, ㉣, ㉤, ㉥


78. CASE 도구의 정보저장소(Repository)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일반적으로 정보저장소는 도구들과 생명주기 활동, 사용자들, 응용 소프트웨어들 사이의 통신과 소프트웨어 시스템 정보의 공유를 향상시킨다.

② 초기의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에서는 사람이 정보저장소 역할을 했지만 오늘날에는 응용 프로그램이 정보저장소 역할을 담당한다.

③ 정보저장소는 도구들의 통합,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표준화, 소프트웨어 시스템 정보의 공유, 소프트웨어 재사용성의 기본이 된다.

④ 소프트웨어 시스템 구성 요소들과 시스템 정보가 정보저장소에 의해 관리되므로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진다.


79. 정형 기술 검토(FTR)의 지침 사항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제품의 검토에만 집중한다.

② 문제 영역을 명확히 표현한다.

③ 참가자의 수를 제한하고 사전 준비를 강요한다.

④ 논쟁이나 반박을 제한하지 않는다.


80. 객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객체는 실세계 또는 개념적으로 존재하는 세계의 사물들이다.

② 객체는 공통적인 특징을 갖는 클래스들을 모아둔 것이다.

③ 객체는 데이터를 가지며 이 데이터의 값을 변경하는 함수를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다.

④ 객체들 사이에 통신을 할 때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5과목 : 데이터통신



【5과목】 데이터통신 (20문제)


81. 맨체스터(Manchester) 코딩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이진신호 0의 경, 비트구간의 시작지점에 존재

② 이진신호 0의 경우, 비트구간의 오른쪽 1/2지점에 존재

③ 이진신호 1의 경우, 이전 비트구간의 역상

④ 이진신호 0의 경우, 비트구간의 왼쪽 3/4지점에 존재


82.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의 링크 구성 방식에 따른 세 가지 동작모드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① PAM  ② NRM  ③ ARM  ④ ABM


83. 변조속도가 1500[baud]이며 트리비트를 사용하는 경우 전송속도(bps)는?

① 2400  ② 3200  ③ 4500  ④ 6000


해설 : 트리비트  : 곱하기 3 , 1500 X 3 = 4500


84. Go-Back-N ARQ에서 7번째 프레임까지 전송하였는데 수신측에서 6번째 프레임에 오류가 있다고 재전송을 요청해 왔다. 재전송되는 프레임의 개수는?

① 1   ② 2  ③ 3   ④ 4


85. IPv6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더 많은 IP주소를 지원할 수 있도록 주소의 크기는 64비트이다.

② 프로토콜의 확장을 허용하도록 설계되었다.

③ 확장 헤더로 이동성을 지원하고, 보안 및 서비스 품질 기능 등이 개선되었다.

④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를 지원한다.


해설 : 64비트가 아니고 128비트이다.


86. 패킷교환망에 접속되는 단말기 중 비패킷형 단말기(Non-Packet Mode Terminal)에서 패킷의 조립·분해 기능을 제공해 주는 일종의 어댑터는?

① GFI  ② PTI  ③ SVC  ④ PAD


87. 부정적 응답에 해당하는 전송제어 문자는?

① NAK(Negative AcKnowledge)

② ACK(ACKnowledge)

③ EOT(End of Transmission)

④ SOH(Start of Heading)


88. LAN의 방식 중 “10Base-T”의 10 이 의미하는 것은?

① 케이블의 굵기가 10㎜이다.

② 데이터 전송 속도가 10Mbps이다.

③ 접속할 수 있는 단말의 수가 10대이다.

④ 배선할 수 있는 케이블의 길이가 10m이다.


89. IP(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비연결 프로토콜이다.

② 최선의 노력(Best Effort) 원칙에 따른 전송 기능을 제공한다.

③ IP 패킷이 다른 경로를 통해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송신된 순서와 다르게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다.

④ IP 패킷에서 헤더 체크섬은 제공하지 않고, 데이터 체크섬만을 제공한다.


90. 통신 프로토콜의 기본적인 요소가 아닌 것은?

① 인터페이스  ② 구문  ③ 의미  ④ 타이밍


91. 라우팅 프로토콜인 OSPF(Open Shortest Path Firs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네트워크 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② 최단 경로 탐색에 Dijkstra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③ 멀티캐스팅을 지원한다.

④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이라고도 한다. 

  

해설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은 rip 프로토콜이다.


92. 데이터 전달을 위한 회선 제어 절차의 단계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① 데이터 링크 확립 → 회선 연결 → 데이터 전송 → 데이터 링크 해제 → 회선 절단

② 회선 연결 → 데이터 링크 확립 → 데이터 전송 → 데이터 링크 해제 → 회선 절단

③ 데이터 링크 확립 → 회선 연결 → 데이터 전송 → 회선 절단 → 데이터 링크 해제

④ 데이터 전송 → 회선 절단 → 회선 연결 → 데이터 링크 확립 → 데이터 링크 해제


93. 실제 전송할 데이터를 갖고 있는 터미널에게만 시간슬롯(Time Slot)을 할당하는 다중화 방식은?

① 디벨로프 다중화

② 주파수 분할 다중화

③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

④ 광파장 분할 다중화


94. QPSK 변조방식의 대역폭 효율은 몇 [bps/Hz]인가?

① 2 ② 4 ③ 8 ④ 16


95. TCP/IP 프로토콜에서 TCP가 해당하는 계층은?

① 데이터 링크 계층  ② 네트워크 계층  ③ 트랜스포트 계층  ④ 세션 계층


96.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이라고도 한다.

② 최대 홉 카운트를 115홉 이하로 한정하고 있다.

③ 최단경로탐색에는 Bellman-Ford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④ 소규모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하다.


97. OSI 참조모돌에서 전이중방식이나 반이중방식으로 종단 시스템의 응용 간 대화(dialog)를 관리하는 계층은?

① Data Link Layer

② Network Layer

③ Transport Layer

④ Session Layer


98. 채널용량이 100Kbps이고 채널 대역폭이 10kHz일 때 신호대잡음비(db)는?

① 124 ② 423 ③ 1023  ④ 4056



99. IEEE 802.3 LAN에서 사용되는 전송매체 접속제어(MAC) 방식은?

① CSMA/CD ② Token Bus

③ Token Ring④ Slotted Ring


100. 패킷교환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패킷길이가 제한된다.

② 전송 데이터가 많은 통신환경에 적합하다.

③ 노드나 회선의 오류 발생 시 다른 경로를 선택할 수 없어 전송이 중단된다.

④ 저장-전달 방식을 사용한다.

728x90

+ Recent posts